제천의 역사와 전통을 알아 볼 수 있는 게시판 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제천의 지명과 행정구역의 변화 지역적 특성과 산물 등을 알려드립니다.
작성일 : 22-07-06 10:39
[조선환여승람] 원종훈
글쓴이 :
문화원
(조회 : 1,096)
① 오여발(吳汝撥) : 자는 경허(景虛), 아호는 경암(敬菴)으로 고창(高敞) 사람이며, 죽유 오운(竹牖 吳澐)의 아들이다. 일찌기 서애 유성룡(西厓 柳成龍)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선조(宣祖, 1567~1608)시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교리가 되었으며, 여러번 승진하여 주(州)의 목사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호성원종(扈聖願從) 공신으로 등록되었고, 영주(榮州) 남계서원(灆溪書院)에 배향되었다.
문집을 남겼으며, 학사 김응조(鶴沙 金應祖)가 쓴 비가 있다.
② 김덕윤(金德閏) : 참선무원종(參宣武願從) 공신이 되었다.
③ 장봉남(張奉男) : 자는 공사(孔嗣)로 단양(丹陽) 사람이며, 단양군(丹陽君) 장효원(張孝元)의 아들이다. 선조(宣祖, 1567~1608)시대에 무과에 급제하여 의지가 되었다. 용맹스러움이 다른이 보다 뛰어나 임진왜란 시 거병(擧兵)하여 적을 토벌 평정하였다.
인조(仁祖, 1623~1649) 이괄(李适)의 변란 때 임금의 어가(御駕)를 호위 남쪽으로 무사히 모시는 등 의를 위해 자청하여 싸웠다. 옥성부원군(玉城府院君) 장만(張晩)과 함께 죽음을 맹세하고 싸워 궐흉(厥凶―대궐 침략자)을 섬멸하는 승리가 있었다. 이로써 국가를 보위 했다는 공훈이 인정되어 진무(振武) 일등공신으로 등록되었다.
공신으로 등록 된 증서가 있으며, 관직은 충훈부사(忠勳府事)에 올랐으며 단천(端川) 송평서원(松平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