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문화사료관 사료로 본 제천

   

사료로 본 제천

제천문화원 사료로본 제천 입니다.

제천의 역사와 전통을 알아 볼 수 있는 게시판 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제천의 지명과 행정구역의 변화 지역적 특성과 산물 등을 알려드립니다.

작성일 : 16-07-11 14:36
목록
[조선환여승람] 건치연혁, 신구속현, 군명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2,729)  

 군 계(郡界) - 제천군 지역한계
 동쪽으로 20리를 가면 단양군(丹陽郡), 서쪽으로 40리를 가면 충주군(忠州郡),
 남쪽으로 70리를 가면 문경군(聞慶郡), 북쪽으로 30리를 가면 원주군(原州郡)이다.

1. 건치연혁[建置沿革] - 제천군이 세워져 내려온 역사시대의 내력
 제천군은 본래 고구려(高句麗) 강역으로서 내토군(奈吐郡)이었고, 신라(新羅)시대에는 내제군(奈堤郡)으로 고쳐져 불리었다.

 고려(高麗)시대 초기에는 제주(提州)로 불리다가, 성종 14년 (成宗, 995, 乙未年)에 자사(刺史)를 두었다. 목종 8년(穆宗, 1005, 乙巳年)에 자사(刺史)제도를 폐지 하였다. 현종 9년(顯宗, 1018, 戊午年)에는 원주의 지주사(知州事) 관할로 되었다가 예종 1년(睿宗, 1106, 丙戌年)에 별도로 고을을 다스리는 관청을 두었다.

 조선(朝鮮)시대에는 태종 13년(太宗, 1413, 癸巳年)에 지방행정조직 예규(例規)를 개정하여 지금의 이름인 제천(堤川)으로 하였으며, 현(縣)을 설치하여 현감(縣監)을 두었다. 고종 32년(高宗, 1895, 乙未年)에 예규를 개정하여 현(縣)을 군(郡)으로 고쳤으며, 군수(郡守)를 두었다. 순종(純宗) 융희 4년(隆熙, 1910, 庚戌年) 이후인 대정 3년(大正, 1914, 甲寅年)에 청풍군을 제천군 소속으로 하였다. 또 충주(忠州)의 동(東)쪽 1개면(面)을 분할하여 제천군 소속으로 하였다. 이어 군수를 두어 지금에 이른 것은 대정(大正) 3년(1914) 때 만들어진 것이다.

2. 신구속현[新舊屬縣] - 옛날과 달라진 속현의 변천
 淸風廢縣 : 청풍현을 없애다.
 청풍은 본래 고구려 사열이현(沙熱伊縣)이었으나, 신라시대에 이르러 청풍(淸風)이라 불렀고, 내제군(奈堤郡-제천군) 소속이 현(縣)이 되었다.

 고려 현종 9년(顯宗, 1018)에는 충주목(忠州牧)에 소속되었다가 그후에 청풍을 다스리는 관청을 두었다. 충숙왕 4년(忠肅王, 1317)에 청풍현 사람 승려 청공(淸恭)이 왕사(王師 : 국사 다음 위치의 고승)가 됨으로써 지군(知郡)으로 승격시켜 군(郡)이 되었다.

 조선(朝鮮) 시대에도 고려 충숙왕 때 승격시킨 군(郡)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순종(純宗) 융희 이후 갑인년(甲寅年, 1914)에 제천군에 소속시켜 군(郡) 제도를 없앴다.

3. 군명[郡名] - 고을이름
 ① 내토(奈吐-고구려시대)
 ② 내제(奈堤-통일신라 경덕왕 16년 <景德王, 757>)
 ③ 의천(義川-고려 성종 14년<成宗, 995> 시대의 별칭)
 ④ 의원(義原-고려 성종 14년<成宗, 995> 시대의 별칭)
 ⑤ 제주(堤州-고려 태조 23년<태조, 940>)
 ⑥ 제천(堤川-조선 태종 13년<太宗, 1413>)

 ① 사열이(沙熱伊-고구려시대)
 ② 청풍(淸風-통일신라 경덕왕 16년<景德王, 757>)


 
이전글  다음글 
목록